Cookies used for improved website experience

Siemens Healthineers and our partners use cookies and other similar technologies to operate the Siemens Healthineers websites and personalize content and ads. You may find out more about how we use cookies by clicking "Show details" or by referring to our Cookie Policy.
You may allow all cookies or select them individually. And you may change your consent and cookie preferences anytime by clicking on the "Review and change your consent" button on the Cookie Policy page.

[2022의료기기 우리 부서가 뛴다] 지멘스 헬시니어스 영상진단 사업부 XP팀

의학신문|2022.02.09
XP_Spcecial article
지멘스 헬시니어스 영상진단 사업부 XP팀은 유방촬영술, X-Ray, 형광투시검사(Mammography, X-ray, Fluoroscopy)를 담당하는 부서로 영상진단의 근간이자 핵심 영역을 다루고 있다.지멘스 헬시니어스 제품 중 가장 잘 알려진 장비군은 아무래도 MR 및 CT 등 하이엔드 제품군이지만, 사실 지멘스 헬시니어스 역사는 X-ray의 발견과 함께 시작됐다. 


 X-ray는 1895년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뢴트겐(Wilhelm Conrad Röntgen)에 의해 우연히 발견됐고, 뢴트겐이 X-ray를 발견한 이듬해인 1896년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전신인 지멘스 & 할스케(Siemens & Halske)와 RGS(Reiniger, Gebbert & Schall)가 기술을 상용화해 최초의 X-ray 기기 X-ray Tube를 제작함으로써 오늘날 영상진단기기의 근간을 다지게 됐다.


 오랜 역사를 기반으로 보다 환자 중심적이고 사용자 중심적인 기술이 집약돼 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한 상황이다. 지멘스 헬시니어스의 XP 팀은 6개의 부분에서 총 17개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트윈 로보틱 엑스레이(Twin Robotic X-ray)라는 차세대 제품을 필두로 하여 방사선 제품군이라 통칭하는 일반촬영 장비군, 거동이 불편한 환자,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이동형 X-ray 제품, 투시촬영 장비(Fluoroscopy), 유방촬영 X-ray 장비군인 맘모그래피(mammography), 마지막으로 비뇨기과 전용 투시촬영장비 등을 국내 유수 병원에 제공하고 있다.


 주요 장비로 세계 최초 트윈 로봇 엑스레이 시스템인 ‘멀티톰 랙스’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검사에 사용할 수 있는 엑스레이 시스템이다. 응급의학은 물론 중재술과 통증 완화 등 정형외과에서부터 2D 방사선의학· 형광투시검사·혈관조영술에 이르기까지 모든 진단을 한 곳에서 해결할 수 있다. 멀티톰 랙스는 독자적 개방형 설계를 기반으로 검사실 내 어느 곳이나 큰 제약 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엑스레이튜브와 플랫 패널 검출기를 조정하는 독립형 로봇 암 2개와 높이 조절을 할 수 있는 환자 테이블을 갖추고 있다. 


외상 및 정형외과 환자에게 특화된 해당 장비는 환자를 움직일 필요 없이 기기를 더 유연하게 움직임으로써 휠체어에 앉은 채로 촬영이 가능하다.50° 와이드 앵글 단층영상합성법 시스템, 유방암 조기 발견 우수 또한 맘모맷 레빌레이션(MAMMOMAT Revelation)은 단층영상합성법(Tomosynthesis) 시스템을 적용한 기기로써 저선량으로 유방 전체를 3D 방식으로 촬영함으로써, 치밀유방을 갖고 있어 고위험군에 속하는 환자의 병변 발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Mammomat KR special article


 엑스선 튜브가 좌우 25°씩 총 50°로 이동해 더 넓은 각도로 촬영이 가능해 겹쳐 보이는 유방조직을 더욱 정확하고 자세하게 진단할 수 있다. 해당 기기는 고해상도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해 진단의 우수성 및 비용적인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다양한 여성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해 가슴에 닿는 패들 부분을 유연한 재질을 사용해 유선형의 인체공학적인 구조로 설계해, 압력이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가해지면서 환자가 좀 더 편안하게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방사선 노출량도 더욱 경감시켜 일반적으로 유방촬영검사의 경우 국제선 왕복 비행기 탑승 시 정도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투시촬영과 X선 촬영 기능이 결합된 효율성 높은 2-in 1 시스템 한편 투시영상 진단은 뼈, 폐, 심장, 신장 방광, 소화기 시스템, 근육, 생식 기관을 포함한 내부 구조의 넓은 범위를 인체 내에 조영제를 주입한 후 엑스선 투시 하에 장기의 구조와 형태 및 기능을 진단하는 방법을 말한다. 형광투시검사 장비인 루미노스 dRF 맥스(Luminos dRF Max)는 위장 및 비뇨생식기 검사 등의 형광 투시에서 특수 촬영에서 일상적인 X선 작업까지 다양한 용도에 활용할 수 있다. 


해당 장비는 투시 조영 촬영과 방사선 촬영 모두에 적합해 업무 흐름을 더욱 유연하며 효율적으로 변화시켜 준다. 대형 43cm x 43cm의 수준 높은 평면 검출기와 넓은 상판 이동 범위 덕분에 월등한 촬영 범위를 제공하고, 환자 이동 위치 사전 설정을 통해 높은 편이성과 환자 접근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상판을 낮출 수 있기 때문에 키가 작은 환자나 장애가 있는 환자 모두 자세를 잡기가 용이해, 무겁고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을 쉽게 자세 잡을 수 있으며 인체공학적 검사가 가능하다. 환자를 의자나 휠체어에 앉힌 상태에서도 일부 방사선 촬영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